1주관

저등급 CO2/CH4 바이오 전환
연구 목표
저등급 C1 부생가스를 고부가가치 화합물인 생분해성 고분자 등으로 전환하는 바이오 전환 고도화 및 양산화 기반 기술개발
저등급 C1 부생가스를 고부가가치 화합물인 생분해성 고분자 등으로 전환하는 바이오 전환 고도화 및 양산화 기반 기술개발
산업 폐가스 내 존재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전환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. 단순히 미생물을 이용해 한종의 온실가스를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넘어서서 온실효과가 가장 큰 두가지 가스(이산화탄소/메탄)를 동시 전환하여 고부가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PHA를 생산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합니다. Lab scale 실험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벤치/실증 급의 공정 개발을 통해 산업화를 목표로 한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. 산업현장 적용을 위해 부생가스 적용 가능한 내성 균주 또한 개발하고 있으며 생산된 PHA의 화학 전환을 통한 물성 개선 공정을 추가하여 실질적인 시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.
1. 기존 미생물 기반 온실가스 직접 전환의 기술적, 경제적 한계성을 저등급 CO2/CH4 동시 전환 원천기술 개발하여 극복하고 저등급 CO2/CH4로부터 생분해성 고분자를 생산하는 기술을 선도하여 기술이전 및 상업화를 도모할 수 있음.
2.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와 온실효과가 80배 이상 높은 메탄 배출을 감축하여 탄소중립 2050, NDC 2030, ESG경영, 기후변화 문제해결에 기여할 수 있음. 이를 통해 온실가스 관련 규제를 회피하여 국가와 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일자리 창출을 기대함.
3.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저등급 CO2/CH4 동시 전환 균주를 개량하여 다양한 화학물질 생산에 적용하면 바이오화학산업에 기여함과 동시에 석유화학 산업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불균형한 구조를 근본적으로 도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.
4.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사용확대를 통한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 및 지속가능한 환경 보호에 기여
5. PHA 사업화 국내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